01_c_history_img
1. 유교(儒敎)의 사상(思想)

유교는 고대 중국에서 시작된 공자(孔子)를 시조로 하는 전통적인정교일치(政敎一致)사상을 존신(尊信)하는 교학(敎學)으로 요(堯), 순(舜),우(禹), 탕(湯), 문‧무(文‧武), 주공(周公), 공(公)의 도(道)를 집대성한공자(孔子)의 교학이다. 유교(儒敎)의 핵심은 중국 고유의 사상을 종합하여효제충신(孝悌忠信)을 주지(主旨)로 한다. 대부분의 종교(宗敎)는 현실의삶보다도 사(死)후에 영생(永生)과 행복을 추구하는 것과 달리 유교는 현실의삶을 어떻게 하면 인간(人間)답게 살것인가 하는 더 큰 목적이 있다고 봄으로일상생활의 실천도덕을 추구하며 일관(一貫)하는 최고 이념을 근본으로 삼아수신제가(修身齊家) 치국평천하(治國平天下)를 이룩할 수 있는 자질을 함양함을근본으로 삼고 있으며, 즉 수기치인(修己治人) 자기를 완성하여 선비정신을바탕으로 군자가 되어 남에게 덕행(德行)을 베푸는 교학(敎學)이다.

2. 유교(儒敎)의 역사(歷史)

유교는 중국의 요순(堯舜)시대와 하(夏). 은(殷). 주(周)나라 시대를 거쳐노(魯)나라의 공부자(孔夫子)에 의해서 집대성되었다. 한국의 유교는BC12세기경 은나라가 망하자 기자(箕子)가 고조선에 와서 우리사회를교화했다는 기자동래설이 있으며 372년(소수림왕2년)에 고구려에서 유교 경전을가르치는 대학으로 태학(太學)을 설립 삼국의 유교문화는 경전교육에 기초한실천적 성격을 사회제도 정착. 고려시대의 전반기에는 과거제도와 국가의례제도등 유교문화(儒敎文化)의 제도적(制度的) 정비(整備). 조선시대는성리학(性理學)의 철학적 이론으로 도학(道學)을 국가이념으로, 이때부터소수서원(紹修書院)을 비롯한 서원(書院) 설립이 활발해져서 향촌의 유림활동이확산되었으며, 지역사회에서 향약(鄕約)을 시행하면서 향촌질서의유교적(儒敎的) 교화가 심화되고 이 시대에 성리학(性理學)의 이론적 논쟁이인간의 심성문제를 중심으로 활발히 발달되었다. 1896년 민비시해사건 이후유학자들이 의병운동으로 항거 하였으며, 1910년 조선왕조의 멸망과 더불어국가종교로서의 유교체계는 허물어졌다. 현대의 유교는 기본윤리인삼강오륜(三綱五倫)과 인의예지(仁義禮智)를 중심으로 한 1964년성균관(成均館) 유도회(儒道會)의 조직이 유림독립운동가의 대표적 인물인김창숙(金昌淑)에 의해 조직을 재건하고, 도덕운동을 중심으로 사회교화에노력했으나 유교적 규범형식과 가치관은 아직도 전통을 고수하는데 머무르고있어 현대사회의 과제이기도하다.

3. 유교(儒敎)의 교리(敎理)

유교(儒敎)는 공자(孔子)의 도의사상(道義思想)을 이념으로 하는인본주의적(人本主義的) 윤리(倫理)의 교(敎)이다. 유교의 요정은 하늘에는원(元). 형(亨). 이(利). 정(貞)의 천도(天道)가 있어서 사람에게인의예지(仁義禮智)의 인성(人性)이 있다. 인성이 유일정순(唯一精純)하여지천명(知天命)의 경지에 이르게 되면 인성은 천도의 합일(合一)하게 되는것이며, 인간사물이 무위이성(無爲而成)하여 자연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그러므로 유교에서는 그 인성의 개발을 가장 중시하였고 그러하기 위해서학불권(學不倦)이며 극기복례(克己復禮)하는데 주력 하였다.